추진목적
에너지원별 공급자가 직접 수요관리를 위한 효율향상사업 투자규모를 확대 추진함으로서 에너지절약 및 기술개발 촉진과 대외 경쟁력 강화
제도(사업)추진 경위
-
- ‘95. 01
-
에법 전면 개정을 통한「에너지공급자 수요관리제도」신설
- - 한전, 가스공사, 한난을 수요관리계획 수립대상자로 지정
-
- ’01. 06
- 전력산업 구조개편 추진에 따라 전력수요관리는 전기사업법에 의해 전력산업기반기금으로 별도 수행
-
- ‘02. 09
- 민영화 전제로 한전을 수요관리계획 수립대상자에서 제외
-
- ‘08. 08
- 한전을 수요관리계획 수립대상자로 재지정
-
- ‘10. 10
- 에너지공급자의 수요관리 투자사업 운영규정 개정
-
- ‘11. 01
- 에너지공급자 수요관리 투자사업 평가 및 검증에 관한 지침 운영
-
- ‘12. 03
- 에너지공급자 수요관리 투자사업 운영규정 개정
-
- ‘14. 10
- 에너지공급자 수요관리 투자사업 운영규정 개정
-
- ‘16. 7
- 에너지공급자의 수요관리 투자사업 운영 규정 개정
-
- ‘18. 5
- 에너지공급자 수요관리 투자사업 운영규정 개정 및 한전 대상 EERS* 시범운영
- - 에너지공급자 효율향상의무화제도(Energy Efficiency Resource Standards) : 에너지공급자에게 연도별 에너지 절감목표를 부여하고, 이를 달성하기 위해 효율향상 투자사업을 의무적으로 이행하는 제도
-
- ‘19. 4
- EERS 시범운영 대상 확대(가스공사, 지역난방공사)
제도의 내용
제도의 정의
에너지공급자가 공급하는 에너지원에 대한 생산, 전환, 수송, 저장 및 이용 상의 효율향상, 수요의 절감 및 온실가스 배출의 감축 등을 도모하기 위하여 소비자의 에너지사용패턴을 변화시키는 제반 활동
-
효율향상 사업
-
- 에너지사용자의 에너지사용 효용을 만족시키면서 에너지를 적게 소비할 수 있도록 에너지사용자의 고효율설비 사용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정의
-
개념 | 개요 | 추진수단 | |
---|---|---|---|
![]() |
에너지절약 및 이용효율향상 ↓ 에너지절감 및 부하 억제 |
기존 에너지사용설비에 대한 고효율 기기의 개체 및 신규도입 등을 통해 에너지 소비절약 유도 | - 고효율기기 보급 지원 - 에너지사용설비 진단 - 에너지사용자 교육훈련 |
* 에너지사용자에 대한 효율향상사업은 EERS 전환 추진
-
부하관리 사업
-
- 최대부하억제 및 기저부하조성을 통해 에너지공급설비의 이용 효율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, 부하이전을 위한 요금지원제도 운용, 최대부하삭감을 위한 부하관리기술의 적용, 새로운 에너지수요 창출을 위한 연료 전환기술의 보급 등 부하평준화를 도모하는 사업으로 정의
-
개념 | 개요 | 추진수단 | |
---|---|---|---|
![]() |
부하평준화로 에너지공급 효율화 ⇓ 최대부하 억제 및 기저부하 조성 |
에너지수요 평준화 도모를 통해 에너지 공급 및 수송 설비의 운용효율 향상 및 에너지수급비용 최소화 추구 | - 부하관리기술의 적용 - 계시별 요금제도 - 연료전환기술의 보급 - 수요창출을 통한 기저부하 증대 - 수요창출을 통한 기저 |
-
기반조성 사업
-
- 에너지공급자 수요관리 투자사업의 저변확대 및 인프라 구축을 목적으로, 홍보․교육, 연구개발, 출연사업을 통한 조사․연구 등 효율향상 및 부하관리 개선을 위한 기반조성 사업으로 정의
-
홍보·교육 | 출연사업 | 연구개발 | 실적검증 |
---|---|---|---|
- 에너지절약 대국민 홍보 - 수요관리 설명회, 세미나 개최 - 에너지이용 안전점검․홍보 등 - 에너지이용향상 기술교육 등 | - 수요관리 투자사업 활성화 정책 및 제도 개발 - 효율향상 에너지기업에 대한 재원조성 및 활용 - 실태조사 및 평가시스템 운영 등 | - 에너지절감 잠재량 분석연구 - 수요관리기술 적용 기반연구 - 효율향상 및 부하관리 실증연구 - 신규 수요관리사업 발굴 연구 | - 수요관리실적에 대한 모니터링 및 검증 |
사업 대상
한국전력공사, 한국가스공사, 한국지역난방공사
법적근거
- 에너지이용합리화법 제9조(에너지공급자의 수요관리투자계획) 및 시행령 제16조(에너지공급자의 수요관리투자계획)
-
에너지공급자의 수요관리 투자사업 운영규정
(산업부 고시 제2019-207호)
추진 절차

사업비 투자 실적
(단위 : 백만원)
구분(단위:억원) | 2013 | 2014 | 2015 | 2016 | 2017 | 2018 |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총계 | 3,183 | 3,494 | 2,015 | 1,924 | 2,183 | 7,243 | |
한국전력공사 | 효율향상 | 674 | 1,139 | 1,276 | 1,057 | 1,279 | 6,092 |
부하관리 | 1,182 | 993 | 95 | 84 | 77 | 60 | |
기반조성 | 10 | 7 | 5 | 7 | 8 | 10 | |
소계 | 1,866 | 2,140 | 1,376 | 1,149 | 1,364 | 6,161 | |
한국가스공사 | 효율향상 | 26 | 82 | 137 | 83 | 79 | 72 |
부하관리 | 1,031 | 957 | 178 | 360 | 370 | 582 | |
기반조성 | 92 | 68 | 80 | 85 | 100 | 100 | |
소계 | 1,149 | 1,106 | 395 | 528 | 548 | 754 | |
한국지역난방공사 | 효율향상 | 7 | 9 | 13 | 17 | 18 | 19 |
부하관리 | 149 | 219 | 210 | 203 | 225 | 278 | |
기반조성 | 11 | 19 | 22 | 27 | 28 | 30 | |
소계 | 167 | 248 | 245 | 248 | 271 | 328 |